본문 바로가기

STUDY

LTE 구조, NRM 네트워크 참조 모델

LTE: 무선 접속망(E-UTRAN)  LTE + Core 망 EPC = EPS. IP 기반으로 동작

 

NRM: 네트워크 참조 모델. EPS + BSS/OSS + 어플리케이션 + IP 전달망

EPS: LTE 서비스 제공

BSS/OSS: 가입자 및 서비스 관리

어플리케이션: 서비스 제공

IP 전달망: IP 패킷 전송

 

 

LTE 엔터티: UE, eNB

EPC 엔터티: S-GW, P-GW, MME, HSS, PCRF, SPR, OCS, OFCS

UE: 사용자 단말 (ex. 스마트폰). LTE 망에 붙을 수 있음

e-NB: LTE 기지국. UE에 무선 연결 제공

S-GW: 무선 접속망과 EPC의 종단점. eNB간 핸드오버 시 anchoring 포인트

P-GW: 1. 단말에 IP 할당. 2. S-GW간 핸드오버 시 anchoring 포인트. 3. UE 별 QoS 정책 적용. 4. UE 별 트래픽 집계 데이터 관리

MME: 1. UE 인증 (Authentication). 2. EPS 베어러 관리. 3. 가입자의 Mobility 상태 관리 (ex. UE 망 접속 여부, idle state)

HSS: UE 인증을 위한 Key와 가입자 프로필을 담는 DB

PCRF: UE 별 정책, 과금 규칙 설정

SPR: UE 별 정책, 과금 규칙을 담는 DB

OCS: 사용자별 남은 사용량 제어

OFCS: P-GW가 전잘하는 트래픽 집계 데이터 관리

PDN: 인터넷

 

사용자 데이터는 UE - eNB - S-GW - P-GW 의 통로로 인터넷과 통신하며 해당 구간의 논리적인 통로를 베어러라고 한다. 이를 제어하는 것이 MME이다. 베어러는 제어 신호 전달(Control Plane)과 사용자 데이터 전달(User Plane) 두 가지 용도로 구분되며 SDN의 Data Plane과 Control Plane 개념과 유사하다.

 

LTE 시나리오:

  1. 초기 접속
  2. Detach
  3. 사용자 비활성화로 인한 S1 해제
  4. 휴지 상태에서 트래픽 발생으로 인한 서비스 요청
  5. 주기적인 Tracking Area 갱신
  6. TAU 절차 없는 핸드오버
  7. TAU 절차 없는 셀 재선택
  8. TAU 절차를 동반한 핸드오버
  9. TAU 절차를 동반한 셀 재선택
  10. 다른 도시로 이동
  11. 다른 도시에서 초기 접속

 

참고자료:

https://blog.naver.com/netmaniascom/80139319947

https://blog.naver.com/ktec21/220980797726

https://www.netmanias.com/ko/?m=view&id=techdocs&no=5138

https://devocean.sk.com/blog/techBoardDetail.do?ID=164551&boardType=techBlog

https://www.netmanias.com/ko/?m=view&id=techdocs&no=5303